top of page

그룹 피드

아래에서 그룹 및 게시물을 확인하세요.


추천 그룹에 게시된 게시물입니다.

Admin
그저께 · 계면공학에 게시물을 작성했습니다.

251021 계면공학 수업자료

계면공학 수업자료입니다.



37회 조회

추천 그룹에 게시된 게시물입니다.

Admin
27일 전 · 계면공학에 게시물을 작성했습니다.

계면공학 Homework #1



계면공학 Homework #1 업로드합니다. (handout 참조)


다음 수업(10월 14일)에 풀이 가지고 오시면 됩니다.


60회 조회

추천 그룹에 게시된 게시물입니다.

Admin
2025년 9월 15일 · 계면공학에 게시물을 작성했습니다.

250916 계면공학 수업자료

계면공학 수업자료입니다.




97회 조회

추천 그룹에 게시된 게시물입니다.

Admin
2025년 6월 27일 · 물리화학 공지사항에 게시물을 작성했습니다.

물리화학 최종 점수

안녕하세요.


물리화학 최종 점수입니다.


엑셀 파일 참고해주세요.



175회 조회

추천 그룹에 게시된 게시물입니다.

Admin
2025년 6월 25일 · 물리화학 공지사항에 게시물을 작성했습니다.

물리화학 전체 성적 및 재검 공지

안녕하세요.

물리화학 조교입니다.


물리화학 전체 성적 종합이 완료되어 공지드립니다.


답안지 재검 진행은 이틀간 나눠서 진행하며 장소와 시간은 아래와 같습니다.


6월 26일 10:30~11:30 신공학관 322호


6월 27일 10:30~11:30 공학관 466호


171회 조회

추천 그룹에 게시된 게시물입니다.

Admin
2025년 6월 19일 · 물리화학 공지사항에 게시물을 작성했습니다.

물리화학 Exam 3 시험 장소 공지

Exam 3 시험 장소 공지합니다.


엑셀파일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시험시간은 다음과 같이 진행됩니다.

A형 18:00~18:30

B형 18:40~20:10


공학용 계산기 지참해주시기 바랍니다.


167회 조회

추천 그룹에 게시된 게시물입니다.

수현 김
수현 김
2025년 6월 18일 · 물리화학 Q&A에 게시물을 작성했습니다.

Excess Properties 관련 질문

) 조성(xA)에 따른 Excess properties(GE, SE, HE)를 함수로 표현하고, 아래 그림에 이를 도시하시오. (※ Excess properties: GE=G-Gideal) 라는 문제를 풀며


ree

위와 같은 식이 나왔습니다. 이 식을 그래프에 도시하려 생각해보니 베타의 값에 따라 그래프의 개형이 달라지기 때문에 혼합이 잘 이루어지는 때인 베타 < 0일 때를 기준으로 아래로 볼록한 그래프를 그려야할지 문제에 주어진 상황인 베타 > 0일 때를 기준으로 위로 볼록한 그래프를 그려야할지 질문드립니다.


ree

50회 조회

감사합니다!

추천 그룹에 게시된 게시물입니다.

수현 김
수현 김
2025년 6월 18일 · 물리화학 Q&A에 게시물을 작성했습니다.

기출 문제 질문


ree

이 문제에서

1. 그림 1은 A와 B의 에너지 준위 밀도가 비슷하고 A의 에너지 준위가 더 낮기 때문에 A가 더 많이 존재하고, 그림 2는 A의 에너지 준위가 낮지만 B의 에너지 밀도가 촘촘하여 높기 때문에 그 개체수가 많아 B가 더 많이 존재한다고 이해했는데 제가 이해한 부분이 맞을까요?

  1. 그렇다면 화학반응의 진행방향은 그림1은 A가 많기 때문에 A -> B의 방향인 정방향이 우세하고 dG_r < 0이고, 그림 2는 B가 많기 때문에 B-> A의 방향인 역방향이 우세하고 dG_r > 0이라고 생각했는데 각 그림의 반응의 진행방향과 이유가 맞을까요? 아니라면 혹시 무엇일까요?

39회 조회

추천 그룹에 게시된 게시물입니다.

진우 오
진우 오
2025년 6월 12일 · 물리화학 Q&A에 게시물을 작성했습니다.

끓는점 오름 실험 결과 공유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교수님께서 수업 시간에 말씀 주신 "파스타 조리 시에 소금을 물에 첨가하는데, 실제로 끓는점 오름이 발생하는가?" 에 대한 실험 결과를 보고드립니다. 현재 fig Q&A 게시판의 사진 업로드 기능이 작동하지 않아 사진을 첨부드리지 못하는 점 죄송합니다. 실험실에서 사용하는 Sodium Chloride를 사용하여 진행하였으며, 100ml 비커에 7g (약 0.12몰)을 첨가하여 진행 하였습니다. 온도계로는 실시간 측정이 가능한 적외선 온도계를 사용하였으며 소금 미첨가: 99.6도 ~ 100.2도 사이에서 측정값 변화

소금 첨가: 101.0도 ~ 101.4도 사이에서 측정값 변화 를 관측하였습니다. 끓는점 오름은 이론값 1.23도, 실험값 평균 1.3도로 나타나 0.7도의 오차를 보였습니다. 주요 오차 원인으로는 적외선 온도계의 특성에 따라 수증기의 온도 측정 교란과, 100ml 비커의 작은 크기로 온도계가 비커 유리의 전도열을 측정할 수도 있음을 생각합니다. 감사합니다. 오진우 드림.


31회 조회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