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물리화학 Q&A

공개·회원 1명

Excess Properties 관련 질문

) 조성(xA)에 따른 Excess properties(GE, SE, HE)를 함수로 표현하고, 아래 그림에 이를 도시하시오. (※ Excess properties: GE=G-Gideal) 라는 문제를 풀며


ree

위와 같은 식이 나왔습니다. 이 식을 그래프에 도시하려 생각해보니 베타의 값에 따라 그래프의 개형이 달라지기 때문에 혼합이 잘 이루어지는 때인 베타 < 0일 때를 기준으로 아래로 볼록한 그래프를 그려야할지 문제에 주어진 상황인 베타 > 0일 때를 기준으로 위로 볼록한 그래프를 그려야할지 질문드립니다.


ree

52회 조회

감사합니다!

기출 문제 질문


ree

이 문제에서

1. 그림 1은 A와 B의 에너지 준위 밀도가 비슷하고 A의 에너지 준위가 더 낮기 때문에 A가 더 많이 존재하고, 그림 2는 A의 에너지 준위가 낮지만 B의 에너지 밀도가 촘촘하여 높기 때문에 그 개체수가 많아 B가 더 많이 존재한다고 이해했는데 제가 이해한 부분이 맞을까요?

  1. 그렇다면 화학반응의 진행방향은 그림1은 A가 많기 때문에 A -> B의 방향인 정방향이 우세하고 dG_r < 0이고, 그림 2는 B가 많기 때문에 B-> A의 방향인 역방향이 우세하고 dG_r > 0이라고 생각했는데 각 그림의 반응의 진행방향과 이유가 맞을까요? 아니라면 혹시 무엇일까요?

40회 조회

끓는점 오름 실험 결과 공유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교수님께서 수업 시간에 말씀 주신 "파스타 조리 시에 소금을 물에 첨가하는데, 실제로 끓는점 오름이 발생하는가?" 에 대한 실험 결과를 보고드립니다. 현재 fig Q&A 게시판의 사진 업로드 기능이 작동하지 않아 사진을 첨부드리지 못하는 점 죄송합니다. 실험실에서 사용하는 Sodium Chloride를 사용하여 진행하였으며, 100ml 비커에 7g (약 0.12몰)을 첨가하여 진행 하였습니다. 온도계로는 실시간 측정이 가능한 적외선 온도계를 사용하였으며 소금 미첨가: 99.6도 ~ 100.2도 사이에서 측정값 변화

소금 첨가: 101.0도 ~ 101.4도 사이에서 측정값 변화 를 관측하였습니다. 끓는점 오름은 이론값 1.23도, 실험값 평균 1.3도로 나타나 0.7도의 오차를 보였습니다. 주요 오차 원인으로는 적외선 온도계의 특성에 따라 수증기의 온도 측정 교란과, 100ml 비커의 작은 크기로 온도계가 비커 유리의 전도열을 측정할 수도 있음을 생각합니다. 감사합니다. 오진우 드림.


31회 조회

HW 4 1번 refrigerator의 효율성 판단 질문

네번째 HW 1번 (b)에 대한 질문입니다.

refrigerator의 COP는 q_c/w을 통해 구할 수 있습니다. 문제에서 주어진 조건과 열역학 1,2법칙을 이용해서 w_min을 구할 수 있지만, 정확히 w가 얼만큼 들어갔는지 알 수 없을 때 어떻게 COP를 구할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또 w값이 주어져 COP값을 구하더라도 어떤 기준으로 효율적인지 비효율적인지 판단할 수 있는지 궁급합니다.

24회 조회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