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화공생명공학과 24학번 김교은입니다. 수업 중 Principle of Corresponding States에 대해 궁금한 점이 생겨 이렇게 질문을 드립니다.
교수님께서 분자량이 작은 물질은 대응 상태 법칙에 잘 맞고, 큰 물질은 그렇지 않다고 설명해주셨는데, 혹시 분자량이 작은 물질도 예외가 있을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예를 들어, 헬륨처럼 임계온도가 매우 낮은 물질(5.2K)은 극저온 환경에서 실험이 이루어져야 하므로, 정밀한 측정이 어려워 임계값에 오차가 생길 수 있고, 그 결과 Tr, Pr, Vr 계산 시 정확도가 떨어질 수 있다고 생각해보았습니다. 혹시 이러한 실험적 한계도 대응 상태 법칙이 적용되지 않는 이유 중 하나가 될 수 있을지 여쭙고 싶습니다.
항상 좋은 수업 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