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가역 반응이 일어날때 △S>0 이자나요.
△S계+△S주위>0에서 △S계를 왜 가역반응인것 처럼 계산하고
△S주위는 비가역반응인 것 처럼 계산하나요??
답변) p.78의 3.1,3.2식에 붙어있는 (rev)가 p.80의 sur계산때 빠진 이유를 궁금해 하시는건가요???(8판기준)
저도 이것때문에 한참을 고민했는데 알고보니 p.79밑에 보면 나와있습니다.
보면 The surroundings consist of a reservoir of constant volume, so the energy supplied to them by heating can be identified with the change in their internal energy, dU(rev)
해석해보면 sur은 부피가 일정해서 dU(rev)=dq(rev)이고 dU는 경로함수여서 dUrev=dU이므로 dq(rev)=dq가 되었습니다.
sur의 부피가 일정하다는 것이 저도 이해가 아직 안되고 있습니다.
system의 부피에 비해 sur의 부피가 무한하게 커서 부피변화를 무시하만하다고 생각해버리면 부피가 일정하다고 놓구 풀수 있긴한데 정확하지는 않네요... 이부분에 대해서 다르게 생각하신분이나 아시는분은 가르쳐 주세요.
Comments